동아시아 사회운동 뉴스레터 제48호💌 동아시아 사회운동 뉴스레터 동동(東動) no.48 | 2025년 9월 5일 |
|
|
|
안녕하세요, 구독자 여러분 🌿
뜨겁게 내리쬐던 한여름의 햇볕도 이제 조금씩 누그러지고 있습니다. ☀️ 낮에는 여전히 후텁지근하지만, 해가 지고 살짝 스치는 바람에서 가을의 기미를 느껴봅니다. 🍂 올여름은 유난히 많은 사건과 변화들이 이어졌던 만큼, 각자의 자리에서 숨 가쁘게 보내셨을 것 같습니다. 혹시 지치지는 않으셨나요? 동동(東動)은 이번 호에서도 동아시아 곳곳의 목소리를 담아 계절의 전환을 맞이하고자 합니다. 🌏
|
|
|
우리가 주목해야 할 뉴스가 있죠. 지금 인도네시아의 대중 시위입니다. '다크 인도네시아 운동'이 끝나지 않은 가운데 지난 8월 말, 인도네시아 전역에서 학생, 노동자, 시민단체 중심의 대규모 항의 시위가 발생했습니다. 시위는 하원의원들이 과도하게 주택수당을 받아가고 있다는 사실이 기폭제가 됐고, 이후 경찰의 장갑차에 의해 오토바이 배달 운전사가 사망하면서 격화됐습니다. 시위는 자카르타뿐만 아니라 마카사르, 수라바야, 발리 등 여러 도시로 확산되었으며, 의회 및 공공 건물 방화, 국회의원 자택 약탈 등 폭력 사태로 이어졌습니다. 이에 정부는 국회의원 특권 철폐 약속, 경찰 개혁 논의, 그리고 소셜미디어 검열 강화로 대응했습니다. 진압과 체포가 잇따르며, 공식 통계상 사망자 7~11명, 체포자 수 천 명에 달합니다.
이번 시위는 “정치-경제 엘리트”에 대한 근본적 분노의 표출입니다. 무책임한 엘리트 집단을 향한 집단적 경고이면서, 경기침체와 청년실업, 생활비 상승 등 구조적 경제불안에 맞선 행동입니다. 인도네시아 민중은 단순한 지도자 교체를 넘어, 민주주의 회복과 불평등 해결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플랫폼C 동아시아팀은 앞으로 계속 이 투쟁을 주목하면서, 깊이 있는 분석과 연대 행동으로 이어가고자 합니다. 플랫폼C의 소셜미디어 계정들을 참고해 주세요! 👉 텔레그램 채널 💬 인스타그램 |
|
|
2021년 2월의 쿠데타로부터 1648일. 📅 미얀마 사람들에게 이 숫자는 단순한 시간의 흐름이 아니라, 수많은 희생과 끝나지 않은 투쟁을 의미합니다. 군부의 폭압과 국제사회의 무책임 속에서도 민주화를 향한 저항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 거리 시위에서 무장 저항까지, 다양한 방식의 투쟁과 함께 디아스포라 공동체가 만들어내는 연대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 글은 ‘망각되지 않는 시간’으로서의 1648일을 기록하며, 군부의 체제를 무너뜨리려는 미얀마 민중의 끈질긴 의지를 전합니다. |
|
|
패스트패션은 싸고 빠른 소비의 즐거움 뒤에 🎽 수많은 노동자들의 저임금과 열악한 노동환경, 그리고 끔찍한 환경 파괴를 숨기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글은 단순히 ‘윤리적 소비’를 촉구하는 데 그치지 않습니다. ‘느린 정의’라는 개념을 통해, 🐢 의류산업에서 정의를 다시 사유하는 방법을 제안합니다. 속도와 가격만을 중시하는 구조를 넘어, 느린 생산과 공정 노동, 🤝환경과 지역을 돌보는 방식이야말로 진정한 대안임을 보여줍니다. 옷을 입는 행위가 곧 세계와 맺는 관계라는 사실을 되새깁니다.🌐 |
|
|
☀️ 팔레스타인과 예술 작은 리서치 발표회 👀Brief Studies of Palestine and Art
💭 일시: 2025년 9월 8일(월) 오후 7시 🏠 장소: 서울 망원동 플랫폼C
- 1972년 팔레스타인 시네마 그룹 선언문 / 해초 - 우표로 보는 팔레스타인 / 송승엽 - 민족투쟁에서의 전통 | 팔레스타인의 음악과 춤 / 장필목 - 팔레스타인 영화와 팔레스타인 관련 서적 / 제이 - 아파르트헤이트와 팔레스타인 현대미술 / 홍명교 - 마흐무드 다르위시와 팔레스타인의 시 / 선이
🔥본 행사는 아랍·중동·이슬람·팔레스타인 책읽기모임의 마지막 세미나로 열리는 행사입니다. |
|
|
세계에서 가장 집값이 비싼 도시 중 하나인 홍콩. 💰 초고층 빌딩이 늘어선 화려한 도시 이미지와 달리, 그 뒤편에서는 수천 명의 사람들이 거리와 공공장소에서 삶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정부는 이를 ‘도시 미관’ 문제로만 다루며 단속과 배제에 나서고 있지만, 🚫홈리스들은 주거권 운동을 통해 존엄과 권리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 글은 거리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구체적인 현실과 그들이 처한 제도적 배제를 드러내며, 주거를 단순한 시장 논리의 대상이 아닌 기본적인 권리로 되돌려야 한다고 말합니다. 🏠
|
|
|
중국 정부는 ‘생태문명(生态文明)’을 국가 전략으로 제시하며 📢 기후위기 시대에 대응하고 있다고 강조합니다. 그러나 이 개념은 과연 전환의 가능성을 여는 것일까요, 아니면 기존의 개발주의와 권위주의적 통치를 정당화하는 새로운 얼굴일까요? 🎭이 글은 중국의 생태문명 담론이 탄생한 배경을 살펴보고, 그것이 어떻게 사회주의의 언어를 빌리면서도 자본주의적 성장주의와 결합하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분석합니다. 🌏생태 위기 속에서 국가 담론이 어떤 역할을 하고, 또 어떤 한계를 드러내는지 말합니다. |
|
|
일본 사회에서 ‘국적’은 단순한 행정상의 구분이 아니라, 누가 일본 사회의 ‘일원’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작동합니다. 📝동시에 ‘국제성’은 겉으로는 개방과 교류를 말하면서도, 🌐실상은 일본 국가주의의 틀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이용되곤 합니다. 이 글은 국적 제도와 국제화 담론이 만들어내는 배제와 차별의 구조를 분석하며, 일본 사회에서 ‘다름’을 둘러싼 긴장을 비판적으로 짚어냅니다. ‘국적’과 ‘국제성’이라는 익숙한 단어들이 사실은 정치적 무기임을 드러냅니다. |
|
|
몽골에서는 최근 정치권을 뒤흔드는 대규모 부패 스캔들이 연이어 폭로되면서 💥시민들의 분노가 들불처럼 번지고 있습니다. 🔥수십억 달러 규모의 자원 부패 사건은 국민들에게 깊은 배신감을 안겨주었고, 도시는 연일 시위로 가득 찼습니다. 이 글은 부패 문제를 둘러싼 정치적 갈등과 시민들의 저항을 전하며, 몽골 사회가 요구하는 ‘투명성과 정의’가 단순한 구호가 아니라 생존의 문제임을 보여줍니다. |
|
|
In 2025, mass youth-led protests in Mongolia forced Prime Minister Oyun Erdene to resign after a corruption scandal involving his son’s lavish lifestyle exposed deeper issues of systemic corruption, weak democracy, and worsening inequality. Demonstrations in Sukhbaatar Square, sparked by the Liberte youth party, broadened into calls for transparency, constitutional reform, and solutions to unemployment, pollution, and poverty. Although Oyun Erdene was replaced by Zandanshatar, many citizens remain skeptical given ongoing allegations of embezzlement and entrenched patronage networks. With Mongolia’s economy hit hard by declining coal revenues and dependence on resource exports, public anger highlights demands for accountability, stronger governance, and structural reforms beyond leadership changes.
|
|
|
✨🌿 기후정의로 광장을 잇자! 🌿✨ 다가오는 9월 27일(토), 기후정의행진이 열립니다! 플랫폼씨도 다양한 일정으로 함께합니다. 여러분의 참여와 연대를 기다립니다. 💪🌏
📅 플랫폼씨 일정
🔴 9/10(화), 9/24(화) ⏰ 18–19시 📍 함정역 선전전
🟡 9/22(월) 🎬 다큐 <석탄의 일생> 상영회 🤝 기후정의행진 간담회
🟢 9/26(금) ✊ 발전노동자 파업 지지 👩🏭 기후정의 노동자·시민대회
🔵 상시 모집 🙌 기후정의행진 '추진이' 가입하기!
💜 그리고… 9/27(토) 기후정의행진에서 만나요! 🌍 |
|
|
- 회원이 되면… 매년 중요한 사업기획을 함께 토론하고 결정하는데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월례 포럼과 책읽기 모임 등 각종 행사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플랫폼c가 이따금 발행하는 팜플렛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 뉴스레터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이 뉴스레터는 한국 사회운동 주요 소식과 동아시아 사회운동 정세 브리핑 등 내용을 다룹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