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사회운동 - 우리는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 플랫폼C 동동(東動) 29호 플랫폼c 동아시아 사회운동 뉴스레터 동동(東動) no.29 | 2023년 7월 16일 |
|
|
|
안녕하세요! 동아시아 사회운동 뉴스레터, 동동 29호입니다. 이번 호에도 동아시아 곳곳의 알찬 소식을 골라 보았습니다. 안전하지 않은 후쿠시마 핵 오염수 방류 반대, 하노이에서 만난 세계 각국 노동운동이야기, 오키나와에서 함께 한 평화연대 활동, 일본 임신중지정책의 역사, 새로운 미투의 물결을 만들고 있는 대만, 태국 사회를 변화시킨 청년활동가의 저항, 퇴거에 항의한 홍콩의 홈리스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데요. 뉴스레터에 실린 요약내용 뿐만 아니라, 함께 첨부된 링크를 클릭하여 글 전체를 보시면 더욱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펼쳐진답니다. 마지막까지 꼭 읽어주세요! |
|
|
일본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보고서를 근거로 오염수 방류를 기정 사실화 했습니다. 하지만 어민과 지역주민의 의견은 묵살하고, 방사선물질이 바다로 배출될 가능성, 그로인해 해양 생태계와 신체에 미칠 위험성에 대해서는 침묵합니다. 한국 역시 현장 시찰단이 돌아온지 한 달 후에야 IAEA의 평가서에 최종 내용을 싣는 데 그쳐 객관성을 의심받고 있습니다. 보편적인 검증을 위해서는 독립적이고, 반복적 실험이 필요하지만 IAEA는 3차의 시료조사 발표 약속을 어기고 1차 결과만을 발표했는데요. 지상보관이 가능한데도 안전이 담보되지 않는 오염수를 '방류'하는 것은 납득이 가지 않습니다.
|
|
|
하노이에서 만난 세계 각국 노동운동가들의 이야기 |
|
|
민주노총 금속노조 이현석 조직국장이 지난 5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있었던 국제통합제조산별노련(IndustriAll) 정보통신기술-전기전자업종 회의 참가 후기를 보내왔습니다. 동아시아와 반도체 및 배터리 등 전기전자산업을 둘러싼 지정학적 긴장은 점점 고조되는 있는데요. 이미 현실에서 그 국제적 긴장은 극렬하게 벌어지고 있고, 이는 한국의 정치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한국의 민주노조가 동아시아의 평화를 위해서 앞으로 무엇을 해야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지금, 노동운동가들이 나눈 대화에서 실마리를 찾아 보는 건 어떨까요?
|
|
|
오키나와 | 동아시아평화연대활동과 함께한 값진 휴가 |
|
|
지난 6월 28일 임신중지 권리 보장을 위해 노력하는 한국-일본 활동가들이 <유산 유도제, 재생산 건강과 권리 이슈들> 웨비나를 열었다. 한국의 모임넷(모두의 안전한 임신중지를 위한 권리보장 네트워크) 와 일본의 ASAJ(Action for Safe Abortion Japan) 이 공동 주관한 이 행사에는 양국 활동가들 80여명의 참여해 서로의 역사와 현재를 공유하고, 전망을 위한 심도싶은 토론을 나누었다. 발제 중 일본 미에대학(三重大学) 의 이와모토 마사코 명예교수의 발표 <일본 임신 중절 정책의 역사> 를 정리했다. 1907년에 도입된 일본의 낙태죄 변천의 역사와 우생사상의 관계를 살핀다.
|
|
|
플랫폼C 페미니즘 공부모임 7,8,9월 일정 공지드립니다아🥳
아래의 책들을 읽고 함께 토론합니다
🍇7월 20일 목요일 오후 7시 30분 <섹스할 권리> 아리아 스미니 바산
🍉8월 17일 목요일 오후 7시 30분 <페미니즘> 데버라 캐머런
🍎9월 21일 목요일 오후 7시 30분 <여성의 수치심 - 젠더화된 수치심의 문법들 > 에리카 L.존슨, 퍼트리샤 모런
⛺️ 장소 : 망원동 338-73,2층 플랫폼C 사무실 + 줌온라인 📲 문의 : 010-7930-0560
관심 있으신 모든 분들을 환영합니다.
|
|
|
중국과의 관계 속에 위기를 느낀 대만 민중은 해바라기 운동 등 직접 민주주의를 통해 급진화를 거듭해 왔는데요. 정부 임명직 여성할당제 도입, 비례대표 여성 50% 공천 의무화, 최초의 여성 총통 차이잉원의 등장 역시 이런 급진화의 반영이었습니다. 그러나 운동의 성장으로 집권한 민주진보당에서 벌어진 성폭력사건을 덮으려는 잘못된 태도는 여성들의 공분을 샀고, 이를 시작으로 연예계, 경제, 정치, 문화계의 미투운동으로 확산되었습니다. 대만의 여성들이 만드는 새로운 미투 물결을 만나볼까요?
|
|
|
태국의 정치적 금기를 부숴버린 21살 활동가 룽 |
|
|
어린 나이에 입헌군주제의 모순을 깨달은 청년활동가 룽은 신념을 따라 학생 운동의 최전선에 나섰습니다. 군과 정부, 법원의 탄압에 굴하지 않고 싸운 룽과 같은 청년들 덕분에 '왕실개혁'에 관한 논의가 처음으로 태국 사회에 제기되고, 지속될 수 있었습니다. 자신의 삶을 바꾸고, 태국 사회를 변화시킨 밑거름이 된 청년활동가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
|
홍콩 | 홈리스들이 그들을 위협하는 바리케이드에 저항하다 |
|
|
홈리스들이 주로 거주하는 거리에 홍콩 정부가 바리케이드를 쳐 홈리스들이 쫓겨났습니다. 이에 홈리스들은 '바리케이드는 우리에게 보이지 않는 살인자'라며 정부에 항의했는데요. 세계적으로 높은 집값과 부족한 공공주택은 홈리스를 양산하는 홍콩 정부의 무능함을 보여줍니다. 점점 늘어나는 홈리스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함께 고민해 봅시다.
|
|
|
정전 70년 한반도 평화대회에 함께 합시다.
참가문의 : 010-2271-8439 |
|
|
더욱 알찬 뉴스레터를 위해 여러분이 할 수 있는 일 - 바로바로 후원!우리은행 1005-203-964648 플랫폼씨 |
|
|
플랫폼c는…
회원의 권리
- 매년 중요한 사업기획을 함께 토론하고 결정하는데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월례 포럼과 책읽기 모임 등 각종 행사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플랫폼c가 이따금 발행하는 팜플렛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 뉴스레터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이 뉴스레터는 한국 사회운동 주요 소식과 동아시아 사회운동 정세 브리핑 등 내용을 다룹니다.
재정
- 플랫폼c는 회원들의 회비와 기타 비영리 사업(팜플렛 등)을 통한 수익금으로 운영됩니다.
- 플랫폼c 활동가의 활동비와 기타 사무실 운영비용, 사업운영에 쓰입니다.
- 플랫폼c의 예결산 내역은 회원들에게 정기적으로 투명하게 공개됩니다.
|
|
|
|